(2025년 6월 6일 기준 주가: ₩46,150)
기업 개요
-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개발·생산·공급에 주력하는 국내 대표 바이오기업입니다.
- 스카이셀플루, 코로나19 백신, 노바백스 위탁생산(CDMO) 등 다양한 백신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CMO 계약을 기반으로 매출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실적 추이 (EPS / PER / PBR)
2021년
EPS: ₩4,830 → PER ≈ 69배, PBR ≈ 16배  
2022년
EPS: ₩1,596 → PER ≈ 24배, PBR ≈ 5.5배 
2023년
EPS: ₩291 → PER ≈ 296배, PBR ≈ 3.9배
2024년
EPS: –₩698 (적자 전환) → PER 계산 불가 (N/A), PBR ≈ 2.0배 
투자 포인트
백신 중심 사업 구조
스카이셀플루, 노바백스 CDMO 등 백신 포트폴리오에 기반한 매출이 핵심입니다. 2023년 CMO 계약 확장으로 매출 증가 기대가 있었으나, 스카이셀블루 중심의 성장으로 턴어라운드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적자 전환 우려
2024년 EPS가 –₩698로 마이너스로 돌아서며 실적 안정성에 리스크가 있습니다. 고정비 부담과 R&D 투자 증가가 주요 요인입니다.
자산 대비 주가 관계
PBR이 16→5.5→3.9→2.0배로 급락하며 수년간 큰 폭의 조정을 겪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에서 자산 대비 주가 수준이 크게 낮아졌다는 의미입니다.
저평가 여부 평가
- 2024년 실적 부진으로 인해 PER 산출 불가능, PBR ~2배 수준은 업종 대비 저평가 구간으로 보입니다.
- 다만 “백신 집중과 CDMO 중심 사업으로 인해 성장 기대가 다소 내려앉은 상태”로, 실적 회복 여부가 관건입니다.
- 2025~2026년 스카이셀블루 판매 증가, CDMO 계약 확대, 비용 효율화 실현 시, 밸류에이션 회복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한 줄 요약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CDMO 중심 사업을 바탕으로 자산 대비 주가가 조정된 대표 사례입니다. 다만, 실적 회복이 있어야 시장의 밸류에이션 회복이 기대됩니다.
결론 및 글을 끝마치며
- 실적 회복 시점이 관건이므로, 분기 실적 발표 후 방향성 확인이 중요합니다.
- CDMO 수주 및 백신 매출 확대 여부가 향후 밸류에이션 반등의 핵심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주제로는 최근 온라인 검색 시장 반독점 이슈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구글’에 대해 정리해 볼 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경제, Smart & Short 하게 알아보자 > 실전 투자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MSFT) - 글로벌 대표 티크 기업, 요즘은 어떨까? (2) | 2025.06.17 |
---|---|
알파벳 Class C(GOOG) - 지금이 가장 저평가? 다시 붉어지는 코로나 이슈, 흑자전환 신호일까? (6) | 2025.06.16 |
팔란티어(PLTR) - 지금이 가장 저평가? 최근 가장 이슈인 AI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알아보자 (1) | 2025.06.14 |
ETF 집중 탐구 - Vanguard VUG, 미국 대형 성장주 투자의 대표적인 ETF (2) | 2025.06.11 |
ETF 집중 탐구 - Vanguard VNQ, 미국 대표적인 부동산 ETF (2) | 202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