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AI 가계부로 소비 분석을 해봤다면, 이번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미래 예산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따라오시면, 단순히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아는 데서 끝나지 않고, 앞으로 어떻게 써야 할지 AI가 직접 제안해 주는 예산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
1️⃣ 준비물
- 구글 시트 (자동화와 연동에 용이)
- ChatGPT 또는 Claude (프롬프트 기반 예산 추천)
- 은행 거래 내역 CSV 파일 (토스, 뱅크샐러드, 은행 앱에서 추출 가능)
2️⃣ AI 예산 자동 배분 프로세스

데이터 업로드
- 은행 앱에서 지난 3~6개월 거래 내역을 CSV로 다운로드
- 구글 시트 업로드 후, 카테고리(식비·주거비·교통비 등) 별 합계 정리
AI 분석 요청
프롬프트 예시:
“지난 3개월 소비 내역을 기준으로, 고정비(주거·통신·보험)와 변동비(식비·여가·쇼핑)를 나누고, 변동비 비율을 20% 줄이는 방향으로 다음 달 예산을 설계해 줘. 결과는 카테고리별 권장 금액으로 알려줘.”

AI 추천안 → 시트 반영
- ChatGPT가 제안한 예산 비율을 시트에 적용
- ‘실제 지출 vs 권장 예산’ 비교 그래프를 추가해 매주 점검 가능

자동화 루틴 설정 (선택)
- Zapier/IFTTT를 이용해 은행 내역을 매주 자동으로 시트에 업데이트 → AI 분석 프롬프트 자동 실행 → 결과 이메일 전송
- “자동 예산 배분 보고서”를 매주 받아볼 수 있습니다.
3️⃣ 실행 꿀팁
- 50/30/20 법칙 (필수지출/자유지출/저축)을 기본 틀로 두고, AI에게 조정안을 요청하면 안정적인 운영 가능
- 예상치 못한 **비정기 지출(경조사, 여행)**은 별도 ‘버퍼 항목’으로 설정
- 가계부 → 예산 배분 → 투자 계획까지 이어가면 AI 재테크 자동화 시리즈로 확장 가능
✅ 글을 끝마치며
이처럼 AI는 단순 분석 도구가 아니라, 실질적인 재무 플래너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음 글에서는 “AI가 제안하는 투자 비중 조정 – ETF와 주식 자동 추천 활용하기”를 다뤄, 예산 관리와 투자를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AI가계부
#예산관리
#AI재테크
#지출관리
#AI금융
#챗GPT활용
#스마트가계부
#재테크팁
#가계부자동화
#AI생활코치
'일상생활 팁, Smart & Short 하게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로 저축률·투자율 최적화 시뮬레이션하기 (2) | 2025.08.31 |
|---|---|
| AI와 금융앱 연동해 지출 카테고리 자동 분류하기 (3) | 2025.08.30 |
| AI 소비 패턴 분석으로 절약 가능한 고정비 찾기 (5) | 2025.08.28 |
| AI 투자일지의 필요성: 기록이 수익률을 바꾼다 (3) | 2025.08.27 |
| AI 가계부: 소비 패턴 분석으로 재테크 첫걸음 (2)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