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지표해설9 PER이 낮은데 주가가 안올라? - EV/EBITDA를 보자! 투자 지표를 살펴볼 때 많은 사람들이 PER, PBR 같은 익숙한 지표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때로는 이런 지표들이 주가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할 때도 있죠. 이럴 땐 기업의 진짜 수익창출력을 보여주는 ‘EV/EBITDA’ 지표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어요.오늘은 이 ‘EV/EBITDA’ 지표가 무엇이고, 왜 많은 투자자들이 이 지표를 참고하는지, 그리고 실전에서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EV/EBITDA란?EV (Enterprise Value)기업의 총가치를 말해요. 시가총액 + 순부채(부채 - 현금성 자산)로 계산합니다.즉, 누군가 이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려 할 때 실제로 지불해야 할 금액이라고 보면 돼요.EBITDA (에비타)기업의 현금 창출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영.. 2025. 4. 16. PER은 낮은데 주가가 안 오른다고? - PEG가 필요한 이유! 주식 공부를 하다 보면 PER이 낮은 종목을 발견하고 ‘오, 저평가 종목이다!’ 하고 기뻐하신 적이 있지 않으신가요?하지만 막상 매수했다더니, 주가는 그대로 이거나 더 떨어지는 경우도 있죠.왜 이런 일이 생길까요?바로 ‘성장성’을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늘 소개할 지표는 기업의 '성장성'을 보여주는 PEG (PER to Growth)입니다.PEG란 무엇인가요?PEG는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됩니다.PEG = PER ÷ EPS 성장률PER이 수익 대비 주가의 높낮이를 보여준다면, PEG는 기업의 성장률을 반영한 PER이라고 볼 수 있어요.예시)단순히 PER만 보면 B기업이 비싸 보이지만, 성장률을 고려한 PEG는 오히려 더 낮아요. 보통 PEG 1 이하인 경우, 저평가된 성장주로 간주되죠... 2025. 4. 15. PER이 낮은데도 주가가 안 오르는 이유는? 숫자 뒤에 숨겨진 진짜 이야기!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지표 중 하나가 ‘PER(주가수익비율)’입니다.많은 투자자들이 PER이 낮은 종목을 보면 “오, 저평가된 주식이네!”라고 생각하죠.하지만 실제로는 PER이 낮은데도 주가가 오르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오늘은 바로 이 ‘낮은 PER의 함정’에 대해 알아보고, 투자 시 주의해야 할 포인트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PER 다시 복습하기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EPS)예를 들어 주가가 10,000원이고 EPS가 1,000원이라면 PER은 10입니다. 이는 투자금 회수에 10년이 걸린다는 뜻이죠.PER이 낮다는 것은 ‘같은 이익을 내는 기업 중 주가가 싸다’는 뜻으로, 흔히 저평가로 해석되.. 2025. 4. 14. 분기보고서에서 꼭 봐야 할 3가지! 공시가 투자 판단을 바꾼다!주식 투자를 시작한 많은 분들이 ‘분기보고서’라는 얘기를 들으면 어렵고 복잡하다고만 느끼곤 해요. 하지만 분기보고서의 몇 가지 핵심 포인트만 볼 수 있다면, 누구나 기업의 흐름을 읽고 투자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초보 투자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분기보고서 실전 체크 포인트 3가지’와 함께, 네이버 금융과 전자공시 시스템(DART)을 활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실적 추이 –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인가?”분기보고서에서 가장 먼저 봐야 할 것은 ‘매출과 영업이익의 흐름’입니다. 기업의 ‘본업’이 얼마나 잘 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핵심 지표이죠.매출이 지속 성장하고 있는가?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늘었는가?이익률은 안정적인가?특히 한두 분기만 보는 .. 2025. 4. 11. 이익잉여금 - 많으면 좋은 걸까? 재무제표에서 자주 놓치는 포인트, 자본잉여금까지 함께 분석해 보기재무제표를 보다 보면 ‘매출’이나 ‘영업이익’에는 눈이 가는데, ‘이익잉여금’이라는 항목은 무심코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런데 이 항목, 잘만 보면 기업의 체력과 성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힌트를 주는 지표입니다. 이와 함께 헷갈릴 수도 있는 개념, 자본잉여금도 같이 알아두면 더 좋습니다.따라서 오늘은 많은 투자자들이 스쳐 지나가는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의 개념부터 투자에 활용하는 실전 팁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이익잉여금이란?기업이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순이익 중에서, 배당이나 투자 등으로 쓰지 않고 남겨둔 돈입니다.이익잉여금 = 누적 순이익 – 배당금 등 지출이익잉여금이 많다는 건, 그동안 회사가 벌어들인 돈을 현금성자산으로 잘.. 2025. 4. 10. 재무제표, 이 정도만 봐도 된다! - 실전 분석 편 – 초보자도 바로 써먹는 재무제표 해석법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는 ‘재무제표를 꼭 봐야 한다’는 말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초보 투자자분들은 이런 생각을 하실 거예요.“숫자도 많고 용어도 어렵고… 솔직히 뭘 봐야 할지 모르겠어요!”따라서 오늘은 주식에 입문하고자 한다면 가장 먼저 알아두어야 할 3가지 재무제표의 지표, 그리고 네이버 금융과 공시 사이트를 활용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매출액 – 기업의 체력‘매출액(Revenue)’은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어들이는지를 보여주는 기본 지표입니다.매출이 증가한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 수요가 존재하고, 기업이 성장 중이라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죠.예시)A기업: 2022년 매출 5조 → 2023년 매출 6조A기업은 1년간 .. 2025. 4. 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