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mart & Short 하게 알아보자/주식 용어 시리즈

PER이 낮은데 주가가 안올라? - EV/EBITDA를 보자!

by postsmart 2025. 4. 16.

투자 지표를 살펴볼 때 많은 사람들이 PER, PBR 같은 익숙한 지표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요. 하지만 때로는 이런 지표들이 주가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할 때도 있죠. 이럴 땐 기업의 진짜 수익창출력을 보여주는 ‘EV/EBITDA’ 지표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어요.

오늘은 이 ‘EV/EBITDA’ 지표가 무엇이고, 왜 많은 투자자들이 이 지표를 참고하는지, 그리고 실전에서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V/EBITDA란?


EV (Enterprise Value)

기업의 총가치를 말해요.
시가총액 + 순부채(부채 - 현금성 자산)로 계산합니다.

즉, 누군가 이 회사를 통째로 인수하려 할 때 실제로 지불해야 할 금액이라고 보면 돼요.

EBITDA (에비타)

기업의 현금 창출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영업에서 얼마나 현금을 벌어들이는가’를 나타냅니다.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로 계산합니다

EV/EBITDA

기업을 인수할 때 들어가는 돈 대비 벌어들이는 현금 흐름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낮을수록 기업이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합니다.


왜 PER보다 EV/EBITDA가 더 나을까?

PER과 EV/EBITDA 비교

PER은 세후 순이익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감가상각, 이자, 세금 등의 영향으로 실제 수익 창출력이 왜곡될 수 있어요.
반면 EV/EBITDA는 비용 처리 전 단계에서의 수익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기업 본연의 현금창출 능력을 판단하는 데 더 유리하죠.


EV/EBITDA는 언제 유용할까?


적자 기업인데 실질 수익성이 높은 경우

감가상각비 등으로 인해 순이익은 마이너스지만, 실제로는 꾸준히 영업이익을 내는 기업이라면 PER로는 제대로 평가할 수 없어요. 이때 EV/EBITDA가 유효합니다.

M&A 타깃 기업 분석 시

인수합병 대상 기업의 실질 가치를 평가할 때는 EV/EBITDA 지표를 많이 사용합니다. 실제 인수 비용 대비 수익창출 능력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죠.

업종 비교 시

자본 지출(CAPEX)이 큰 업종이나, 감가상각이 많은 산업에서는 PER보다 EV/EBITDA 지표를 사용하면 더 정확한 비교가 가능합니다.


EV/EBITDA 실전 활용 팁 (네이버 금융)


네이버 금융 - 종목 검색 - 재무제표 탭 활용

EBITDA는 따로 제공되지 않지만,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로 계산할 수 있어요. 감가상각비는 IR자료나 DART 공시 참고!

EV 계산 방법


EV = 시가총액 + 총부채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이 또한 네이버 금융과 전자공시(DART) 참고!

EV/EBITDA 평균 비교


동일 업종 평균과 비교하면 해당 종목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마무리: PER만으로는 부족하다!


EV/EBITDA는 초보자에겐 조금 낯설지만, 기업의 ‘진짜 가치’를 보고 싶은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지표입니다. PER이 낮은데도 주가가 오르지 않는다면, 이제는 한 발 더 나아가 EV/EBITDA까지 확인해 보세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 주제는 해당 지표를 활용한 ‘실전 Case 분석’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