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R2

적자기업 투자, 진짜 해도 될까? 매출은 성장 중인데, 적자인 기업… 투자해도 괜찮을까요?주식시장에서 흔히 듣는 말 중 하나는 “적자는 곧 위험”이라는 말입니다. 실제로 많은 투자자들이 수익성이 좋은 기업, 즉 흑자 기업에 집중하죠. 하지만 요즘처럼 고성장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시장에서는 ‘아직은 적자지만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기업’들도 주목받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이런 기업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PSR(주가매출비율)로 적자 기업을 본다는 것보통 적자 기업은 PER, PBR 같은 전통적 지표로는 제대로 된 평가가 어렵습니다. 이익이 마이너스이기 때문에 PER은 계산이 불가능하고, 자산가치만으로 평가하기엔 그 잠재력을 온전히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죠.이럴 때 활용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PSR(Price to Sales Rat.. 2025. 4. 28.
PSR(주가매출비율), 매출로 저평가 종목을 찾는 법 PER, PBR은 잘 아는데 PSR은 생소하다면? 오늘은 기업의 매출을 기준으로 주가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따져볼 수 있는 ‘PSR(Price to Sales Ratio)’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PSR이란?PSR = 시가총액 ÷ 매출액PSR은 기업의 전체 몸값(시가총액)을 매출과 비교한 값입니다. 즉, 기업의 매출 ‘1원’에 대해 주식시장이 얼마만큼의 가치를 매기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볼 수 있죠.해당 지표는 PER처럼 수익이 아니라 매출 기준이라 적자 기업 분석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SR의 해석법PSR이 낮다 : 매출 대비 기업가치가 낮다 → 저평가 가능성PSR이 높다 : 매출 대비 기업가치가 높다 → 고평가 가능성다른 지표들도 늘 그렇듯이, PSR이 높다고 무조건 안 .. 2025.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