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4 실전 기업분석 - 네이버 (035420) 기업 개요네이버는 국내 최대의 인터넷 플랫폼 기업입니다. 검색, 커뮤니티, 쇼핑, 클라우드,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죠. 특히 2024년에는 AI 기반 서비스와 글로벌 진출에 주력한 부분이 있습니다.수익성 지표: ROE & ROAROE(자기자본이익률): 12.5%ROA(총자산이익률): 6.8%ROE, ROA 수치는 네이버가 자본과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주당순자산(BPS) & 주가 비교BPS: 150,000원현재 주가: 180,000원주가가 BPS보다 높다는 것은 시장에서 네이버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투자 지표: CAPEXCAPEX(설비투자): 1조 2천억 원네이버는 AI 인프라와 글로벌 데이터 센터 구축에 적극적.. 2025. 5. 2. ROE vs ROA, 무엇이 더 중요한가? 투자 지표 중 많은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ROE(자기자본이익률)’과 ‘ROA(총 자산이익률)’. 둘 다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지만, 각각이 의미하는 바가 다르고, 해석 또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투자 시 어떤 지표를 더 중점적으로 봐야 할까요?ROE란?‘ROE(Return on Equity)’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예를 들어 ROE가 15%라면, 회사가 100억 원의 자기자본으로 15억 원의 순이익을 창출했다는 뜻입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적은 자본으로 많은 이익을 냈다는 의미로, 경영 효율이 뛰어나다고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ROA란?‘R.. 2025. 4. 21. ROA, 총자산이익률이란?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굴리고 있는지 알려주는 핵심 지표기업의 가치는 단순히 이익만으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동일한 이익을 내더라도 얼마나 적은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벌었는지가 중요하죠.바로 이런 기업의 효율성을 체크하는 지표가 ‘ROA(Return on Assets, 총 자산이익률)’입니다.ROA란 무엇인가요?ROA는 말 그대로 총 자산 대비 순이익의 비율을 뜻합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ROA = (당기순이익 / 총 자산) × 100예를 들어, A기업이 1조 원의 자산으로 1,000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면, ROA는 10%입니다. 반대로 B기업이 5조 원의 자산을 가지고 같은 이익을 냈다면, ROA는 2%에 불과하죠. 즉, A기업이 자산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 2025. 4. 20. ROE와 ROA, 기업의 수익성을 꿰뚫는 핵심 지표!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ROE와 ROA라는 용어를 자주 보게 됩니다.둘 다 "수익성"과 관련 있다는 건 알겠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신가요? 오늘은 두 지표의 개념부터 실전 투자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Smart & Short 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ROE란?ROE(Return on Equity) =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 100 '주주가 투자한 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예시)A기업의 자기 자본이 100억 원, 당기순이익이 10억 원이라면ROE = 10억 ÷ 100억 × 100 = 10% 주주 입장에서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수익률'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워요! ROA란?ROA(Return on Assets) = .. 2025. 4.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