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지표해설9

[블로그 소개] 주식 투자 입문자와 함께 성장하는 공간 안녕하세요, Postsmart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이 블로그는 주식 투자를 이제 막 시작하신 분들을 위한 지식들을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혼란스러운 용어와 수많은 정보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쉽고 명확하게, 그리고 실전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투자 지식’을 함께 알아가 보도록 해요!왜 이 블로그를 시작했을까요?저 역시 처음 주식 공부를 시작했을 때, PER, PBR, ROE 같은 지표가 너무 어렵고 추상적으로 느껴졌습니다.‘그냥 숫자인데 이게 뭘 의미하지?’, ‘낮으면 좋은 거야, 아니면 높은 게 좋은 거야?’라는 질문들을 수도 없이 반복했죠.그때 ‘누군가 쉽게 정리해 줬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런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보기로 결심했습니다.블로그의 핵심 .. 2025. 4. 7.
ROE와 ROA, 기업의 수익성을 꿰뚫는 핵심 지표!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ROE와 ROA라는 용어를 자주 보게 됩니다.둘 다 "수익성"과 관련 있다는 건 알겠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신가요? 오늘은 두 지표의 개념부터 실전 투자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Smart & Short 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ROE란?ROE(Return on Equity) =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 100 '주주가 투자한 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예시)A기업의 자기 자본이 100억 원, 당기순이익이 10억 원이라면ROE = 10억 ÷ 100억 × 100 = 10% 주주 입장에서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수익률'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워요!  ROA란?ROA(Return on Assets) = .. 2025. 4. 5.
PER, PBR 더 깊이 알기 – 투자 판단에 정말 쓸모 있을까? 주식 투자 입문자들이 가장 자주 접하는 용어가 PER, PBR입니다. 지난 글에서 이게 뭔지는 배웠는데... 어떻게 투자에 활용하는지,언제 참고하면 좋고,언제 주의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죠? 따라서 오늘은 PER, PBR의 실전 활용법과 오해들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알아보려고 해요.  PER, 다시 한 번 복습!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EPS)예시: 주가가 10,000원, EPS가 1,000원이면 PER은 10.이 말은, 회사가 이익을 계속 지금처럼 낸다고 가정했을 때, 투자금 회수에 10년 걸린다는 뜻이에요.  📌 Smart & Short TipsPER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일 수 있어요.하지만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에요. 작년대비 올해.. 2025.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