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전 기업분석 -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by postsmart 2025. 5. 18.

기업 개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DMO) 기업으로, 인천 송도에 위치한 생산시설을 통해 항체의약품을 비롯한 다양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1~4 공장을 운영 중이며, 총 생산능력은 60.4만 리터에 달합니다. 또한, 5 공장(18만 리터 규모)을 2025년 완공 목표로 증설 중이며, mRNA, ADC,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실적 요약 (연결 기준)

  • 매출액: 4조 5,473억 원 (전년 대비 +23%)
  • 영업이익: 1조 3,201억 원 (전년 대비 +19%)
  • 당기순이익: 9,633억 원 (전년 대비 +26.3%)    


2024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 공장의 본격적인 가동과 기존 공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와 CDMO 수요 증가가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2024년 기준)

  • 주가: 1,066,000원
  • EPS(주당순이익): 14,650원
  • PER(주가수익비율): 72.8배
  • PBR(주가순자산비율): 8.24배
  • 배당수익률: 0.0%  


삼성바이오로직스의 PER과 PBR은 업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 회사의 성장성과 미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다만, 현재까지 배당은 실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투자 매력 포인트


글로벌 CDMO 시장에서의 경쟁력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대규모 생산능력과 안정적인 품질 관리로 글로벌 제약사들의 신뢰를 얻고 있으며, 지속적인 수주 확대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사업 다각화 및 기술력 강화

기존 항체의약품 중심에서 벗어나 mRNA, ADC,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종합 바이오기업으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설비 투자

5 공장 증설을 비롯한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매출 성장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투자 시 유의사항


높은 밸류에이션

현재 PER이 70배를 초과하고 있어,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배당 미실시

현재까지 배당을 실시하지 않고 있어, 배당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산업 특성상 규제 리스크 존재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규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므로, 관련 정책 및 규제 변화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및 글을 끝마치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CDMO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지속적인 사업 확장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기업입니다.

높은 밸류에이션에도 불구하고, 향후 성장 가능성과 시장 지배력을 고려할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가 유효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과 배당 미실시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판단이 필요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 주제로는 더 흥미로운 주제를 다룰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