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mart & Short 하게 알아보자/실전 투자 정보 모음

실전 기업분석 - 한국전력공사 (015760)

by postsmart 2025. 5. 20.

기업 개요


한국전력공사(KEPCO)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력 공기업으로, 국내 전력의 생산, 송전, 배전, 판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 전력 시장을 독점적으로 운영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24년 실적 요약

  • 매출액: 94조 13억 원 (전년 대비 6.6% 증가)
  • 영업이익: 8조 3,488억 원 (전년 대비 283.8% 증가)
  • 당기순이익: 3조 7,484억 원 (전년 대비 179.5% 증가)
  • 주당순이익(EPS): 5,439원
  • 주당순자산(BPS): 62,177원
  • 주당배당금(DPS): 214원
  • 주가수익비율(PER): 4.6배
  • 주가순자산비율(PBR): 0.40배
  • 배당수익률: 0.85%


2024년 한국전력은 4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전력 판매량 증가와 전력 판매 단가 상승, 연료비 및 전력구입비 감소 등이 실적 개선에 기여하였습니다. 특히, 낮아진 에너지가격과 발전 믹스 개선, 정부의 에너지 정책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산업 및 기업 분석


한국전력은 국내 전력 시장을 독점적으로 운영하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료비 변동, 전력 판매 단가, 정부의 에너지 정책 등에 따라 수익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에는 전력 판매 단가 상승과 연료비 감소로 인해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주요 관찰 포인트


국제 유가 및 연료비

연료비는 전력 생산 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국제 유가 및 연료비 변동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전력 판매 단가(SMP)

전력 판매 단가는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SMP의 변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확대 등 정부 정책은 한국전력의 사업 방향과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전력 수요 및 공급 상황

국내외 경제 상황에 따른 전력 수요 변동과 공급 상황을 고려하여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결론 및 글을 끝마치며


한국전력은 국내 전력 시장을 독점적으로 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연료비 변동, 전력 판매 단가, 정부의 에너지 정책 등에 따라 수익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 포스팅 또한 흥미로운 주제로 돌아올 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