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mart & Short 하게 알아보자/실전 투자 정보 모음

셀트리온 (068270) 기업 분석 — 2025-11-07

by postsmart 2025. 11. 7.

셀트리온은 국내 대표 바이오기업으로, 바이오시밀러(중복생물의약품) 개발·생산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확대해 온 기업이다.
특히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블록버스터 시밀러 제품군과 함께 최근에는 위탁생산(CMO)/의약품 CDMO 사업 및 신약개발(ADC·다중항체 등) 영역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 중이다.  
글로벌 제약사 및 유럽·미국 시장에서 처방 성장과 시장점유율 확대가 나타나고 있어 산업 내 구조적 성장 스토리의 중심 기업으로 평가된다.

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

(단위: 백만 원 / 2024년 12월 결산 기준)

→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PER이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어 프리미엄이 반영돼 있는 상태로 분석된다.

최근 3년 핵심 지표

(연결 기준, 단위: 백만 원)

  • 매출 성장률: 2022→2024 간 약 +63.4%
  • 영업이익률: 고점(33%) → 하락세(14%)
  • 순이익률: 안정적 감소(28% → 12%)

→ 매출은 증가세를 보이지만, 이익률 둔화는 원가 상승·판관비 증가·해외시장 확장비용 영향으로 해석.
→ 2024년은 램시마 SC 매출 성장과 신제품 출시 효과로 외형은 확대되었으나,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

산업 내 비교

(국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기업, 단위: 백만 원)
비교 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셀트리온은 매출 규모 및 성장 흐름 측면에서는 유의미하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대비 수익성·영업이익 규모는 아직 더 낮은 상태이다.

핵심 성장 포인트

✅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장 및 블록버스터 시밀러 제품 성장

램시마 / 램시마 SC 등 기존 제품이 유럽·미국 등에서 시장지위 강화 중이며, 2024년에는 매출급증을 기록.  
✅ CDMO/CMO 사업 확대 및 신약(ADC·다중항체) 포트폴리오 강화
위탁생산 수요 증가 및 신약개발 투자 확대는 향후 수익구조 개선의 단초로 작용 가능성 有
✅ 재무건전성 기반 확보 및 현금흐름 개선
2024년 영업활동 현금창출액이 약 1조 원 수준으로 확인되며, 재무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


종합 평가

(정성·정량 통합)

결론 요약

셀트리온은 국내 바이오 기업 중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며 성장 궤도에 있는 기업으로, 특히 바이오시밀러 제품군과 신약·위탁생산 사업의 성장성이 강조된다.
다만 현시점에서는 밸류에이션이 이미 상당히 높이 형성돼 있어 투자 매력은 존재하지만 성장 기대가 실적으로 연결되는 시점까지는 리스크도 함께 존재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장기 관점에서 구조적 성장 스토리에 베팅하는 전략이 유효하나, 단기적으로는 실적 모멘텀 확인, 신제품 처방 확대, 경쟁 리스크 대응 여부 등을 주의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바이오의약품 #글로벌바이오 #CDMO #신약개발 #램시마 #트룩시마 #바이오투자 #제약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