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Smart & Short 하게 알아보자/주식 투자 실전 가이드

PMI, LEI, 고용지표 간의 관계 - 어떻게 투자에 활용할 수 있을까?

by postsmart 2025. 6. 25.

(2025년 6월 기준 최신 경제지표 반영)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의 서비스업 PMI, 제조업 PMI, LEI(선행경제지수), 그리고 고용지표(NFP·실업률) 간의 관계와 이를 활용한 투자 전략을 정리할 계획입니다.

각 지표의 흐름을 종합하여 경기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주요 지표 요약

  • 서비스업 PMI: 5월 49.9로 경기 위축 국면 진입
  • 제조업 PMI: 5월 48.5로 3개월 연속 위축 흐름 유지
  • LEI: 4월 기준 99.4로 5개월 연속 하락, 경기 전환 시사
  • 고용지표: 5월 비농업 고용 +139,000명, 실업률 4.2% 안정적 유지 


지표 간 상관관계 이해


서비스 및 제조업 PMI ↔ LEI

  • 서비스·제조 PMI는 경기 흐름을 1~2개월 앞서 보여주는 지표
  • LEI 또한 7개월 선행 예측 도구
  • PMI 약화와 LEI 하락이 동시에 포착된다면, 경기 하락 전환 위험이 높다는 신호

PMI ↔ 고용지표

  • 제조업 PMI 내 고용 항목은 고용시장 동향의 초기 힌트가 됩니다.
  • 서비스업 PMI의 고용 구성요소(50.7 이상 유지)는 근로 수요가 안정적임을 시사


LEI ↔ 고용지표

  • LEI 하락 속에서 고용지표가 양호하다면, 경기 침체 우려 일부 완화
  • LEI 지속 하락 시, 고용 강세 한계 봉착 가능


실증적인 관련성: PMI와 기업 실적


S&P Global은 복합 PMI(제조 + 서비스)가 S&P 500 EPS 변화와 74%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PMI가 하락하면 기업 순이익 모멘텀 둔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략적 활용법


단기 전략

“LEI 하락 + PMI 위축 + 고용 유지일 경우”

  • 금리 인하 기대를 바탕으로 채권 비중 확대 또는 방어주 선택
  • PMI 급반등 시 금융·산업 섹터 순환 매수가 포인트


중장기 전략

“LEI 하락 + PMI 위축 + 고용 위축일 경우”

  • 리세션 대비 자산 재조정 시기


”LEI 상승 전환 + PMI 회복 + 고용 개선일 경우“

  • 성장 자산 비중 확대 기회


Smart & Short Review

  • 서비스 PMI는 민감하며 제조 PMI는 펀더멘털 반영
  • LEI (경기 전환 예고), PMI ↔ 고용 흐름 함께 체크 필요
  • 지표 간 괴리 지속 시 정책 혼선 또는 경기 전환 시그널
  • PMI + LEI + 고용 종합 해석 시, 경기 흐름에 대한 높은 예측력 확보 가능


글을 끝마치며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음 주제로는 더 흥미로운 내용을 다룰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서비스업PMI
#경기선행지수
#미국고용지표
#LEI지표
#미국경제분석
#거시경제지표
#2025경제전망
#금리전망
#경제흐름읽기
#티스토리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