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기업 분석 — 2025-11-14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우주·방산·기계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 방위산업 기업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자주포·장갑차 등 지상 방산, 항공기 엔진 및 부품, 우주발사체 기술 등이 있으며, 글로벌 수출 및 내부 기술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특징이다. 최근에는 유럽·중동·미국 방산시장 진출 강화 및 우주산업 사업부 확장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부각되고 있다. 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단위: 백만 원 / 연결 기준 / 출처: FnGuide + DART)→ PBR이 매우 높아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크게 형성된 상태이며, ROE가 높은 것은 최근 대규모 수주 및 실적 개선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최근 3년 핵심 지표(연결 기준 / 단위: 백만 원 / 출처: FnGuide + DART 사업보고서)* 2023년 .. 2025. 11. 14.
삼성SDI (006400) 기업 분석 — 2025-11-13 삼성SDI는 전기차용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전자재료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2차전지 및 첨단소재 기업입니다.주요 사업부문으로는 자동차 전지(프리미엄 각형·원통형), ESS 및 전력용 배터리, 전자재료(편광필름 등)가 있으며, 최근에는 북미·유럽 고객사 확보 및 미국 ESS 시장 확대를 위한 설비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다만 2024년에는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 둔화 및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매출이 급감했고, 영업이익이 대폭 하락하는 등 단기적으로 구조적 조정 국면에 있다는 평가가 존재합니다. 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단위: 백만원 / 연결 기준/ 최근 결산 기준)※ PER·PBR 등은 Fnguide 기준 요약치. → 현재 밸류에이션은 업종 평균 대비 높으며, 수요 .. 2025. 11. 13.
LS ELECTRIC (010120) 기업 분석 — 2025-11-12 LS ELECTRIC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력기기 및 자동화 솔루션 기업으로, 송배전·스마트그리드·전력인프라를 핵심 축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주요 사업부는 ①전력기기(변압기, 차단기 등), ②전력 자동화, ③스마트에너지 솔루션으로 구성된다.국내에서는 한전·산업용 전력망 설비를 공급하며, 해외에서는 스마트그리드·ESS·전력제어 사업으로 확장 중이다.최근에는 AI·IoT 기반의 ‘디지털 전력망’ 및 ESS 제어시스템으로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단위: 백만 원 / 연결 기준 / DART + FnGuide 2024 결산)→ PER은 업종 중간 수준이며, PBR 2배 초반으로 전력설비 대장주 위치. ROE·배당 모두 안정적이며 재무구조 양호.최근 3년 핵.. 2025. 11. 12.
한화솔루션 (009830) 기업 분석 — 2025-11-11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모듈 제조·발전, ESS(에너지저장장치), 수소 및 재생에너지 개발, 전력망 솔루션을 아우르는 친환경 에너지 통합 기업.주요 사업은 태양광 셀·모듈의 생산 및 판매, 태양광 발전소 개발·운영·매각, ESS 사업, 수소연료전지 및 복합소재 사업 등.최근 글로벌 탈탄소 및 재생에너지 정책 강화, 미국의 IRA(인플레이션감축법) 등 제도적 수혜가 기대되는 가운데, 태양광 모듈 출하량 회복과 발전소 매각 등을 통한 수익 구조 전환이 핵심 포인트로 부각.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단위: 백만 원 / 연결 기준 / 출처: DART 및 회사공시)*참고: 2024년 연결 매출액 약 12조 3,940억 원, 영업손실 약 3,002억 원 최근 3년 핵심 지표(연결 기준 / 단위: 백만 원)매출은 20.. 2025. 11. 11.
엔씨소프트 (036570) 기업 분석 — 2025-11-10 엔씨소프트는 MMORPG (예: 리니지, 블레이드 & 소울) 등 온라인게임에서 시작해, 모바일·PC·콘솔 플랫폼으로 사업을 확장해 온 국내 대표 게임사이다.최근에는 주요 IP의 매출 하락과 조직 개편, 글로벌 퍼블리싱 확대 전략이 맞물리면서 ‘턴어라운드’가 필요한 시점으로 평가된다. 글로벌 진출(북미·유럽), 로열티 매출 확대, AI/콘솔 신작 라인업 강화 등이 중장기 성장 모멘텀으로 제시되고 있다. 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단위: 백만 원 / 연결기준 / 출처: DART + FnGuide)* “ROE 6.63%” 등의 지배구조 평가 리포트 참고→ 엔씨소프트는 PER·PBR 측면에서 업종 평균 대비 다소 불리한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최근 실적 부진 및 구조조정 이벤트 때문으로 분석.최근 .. 2025. 11. 10.
네오위즈 (095660) 기업 분석 — 2025-11-09 네오위즈는 PC / 콘솔 및 모바일 플랫폼용 게임을 개발·퍼블리싱하는 국내 중견 게임사.대표작으로 ‘P의 거짓’, ‘브라운더스트2’,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IP 프랜차이즈화 및 글로벌 인디게임 투자 확대 전략 추진 중.다만 최근 4분기에는 ‘P의 거짓’ 출시 효과가 감소하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크게 줄었고, 연간 순이익은 적자 전환했다는 점이 투자 리스크로 작용.밸류에이션 & 업종 비교(단위: 백만 원 / 최근 결산 기준)* 시가총액은 주가 24,750원 × 발행주식수 환산치(대략치)※ PER이 매우 높거나 적자 전환으로 왜곡된 수치 포함됨.출처: DART 및 FnGuide 참고. 최근 3년 핵심 지표(단위: 백만 원 / 연결 기준)출처: 연간 실적 기사 및 IR 발표 .. 2025.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