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9

ETF 집중 탐구 - Schwab SCHD, 미국 고배당 우량주를 담다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SCHD)’는 미국 고배당 우량주에 집중 투자하는 대표적인 배당형 ETF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상품입니다.낮은 운용 보수(0.06%)와 함께 배당 성장 가능성까지 갖춘 ETF로서, 배당주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자 할 때 강력한 선택지로 꼽힙니다.최근 3개년 수익률 (총수익 기준)2022년: -3.24% (전반적 시장 조정 속 선방)2023년: +1.65% (기술주 랠리 속 소외)2024년: +5.28% (에너지 및 산업주 회복 중심 상승)최근 3년간의 연평균 수익률(CAGR)은 약 ‘1.19%’로, 변동성은 낮지만 성장성은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그러나 배당 수익률(2025년 기준 약 3.9.. 2025. 6. 9.
ETF 집중 탐구 - Invesco QQQ, 나스닥 100의 핵심을 담다 Invesco QQQ ETF는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성장형 ETF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글로벌 혁신 기업들에 투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입니다.최근 3개년 수익률 (총수익 기준)2022년: -32.58% (금리 인상/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2023년: +54.86% (AI 및 기술주 반등 주도)2024년: +25.58% (기술주 강세 지속) 최근 3년간의 연평균 수익률(CAGR)은 약 ’ 19.63%‘로,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요 보유 종목 및 비중 변화2023년 12월 기준애플 (AAPL): 9.40%마이크로소프트 (MSFT): 7.86%엔비디아 (NVDA): 7.45%아마존 (AMZN): 5.49%알파벳 (GOOGL): 4.. 2025. 6. 8.
미국 주식 투자 가이드 - 개별주 대신 ETF, 언제 선택해야 할까? 개별 종목 vs ETF, 어떤 차이가 있을까?개별 종목에 투자한다는 것은 특정 기업 하나의 주가 흐름에 집중한다는 의미입니다. 기업이 잘된다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반대로 실적이 부진하거나 악재가 있다면 큰 손해를 볼 수도 있죠. 즉, 높은 수익률을 노리는 대신 그만큼의 리스크도 감수해야 하는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ETF(상장지수펀드)’는 여러 기업의 주식을 묶어놓은 패키지 상품으로, 하나의 ETF에 투자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기업에 분산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전체의 흐름을 따라가는 안정적인 투자 방법으로 평가받습니다.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둘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수익률개별 종목은 해당 기업의 성장성에 따라 수익이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반면, ETF는 전체 시장의 .. 2025. 6. 7.
미국 주식 투자 가이드 - 배당 및 성장주, 비율은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 근 며칠간 미국 주식 대표 배당주와 성장주들을 알아보았습니다. 하나는 현재의 수익을 다른 하나는 미래의 수익을 추구하죠. 그렇다면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할까요?대부분 아시 듯이, 좋은 포트폴리오는 ‘적절한 조화’를 투구합니다.성장주와 배당주의 차이성장주는 고속 매출 증가, 기술 혁신, 시장 확대 가능성이 큰 기업입니다.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이 대표적이죠. 배당금은 적거나 없지만, 주가 상승 기대가 높습니다. 반면, 배당주는 안정적 이익 기반으로 꾸준히 현금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입니다. 코카콜라, 존슨앤드존슨, 리얼티 인컴 같은 기업이 여기에 해당하죠.나에게 맞는 비율은?포트폴리오 비중은 투자 성향과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20~30대: 자산 성장에 집중하는 시기 → 성장주 70-80%, 배당주 .. 2025. 6. 6.
메타(META) -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페이스북과 인스타, 기업가치는 어떨까? 기업 개요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 등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플랫폼 보유AI와 광고 성과 최적화 전략으로 실적 반등메타버스 투자는 지속. 하지만 핵심은 AI·생성형 광고·혼합현실 등으로 추진 중최근 4개년 실적 추세2021년EPS: $13.77 / PER: 약 22배 / PBR: 약 7.3배광고 수요 폭발, 코로나 이후 온라인 활동 증가에 사상 최대 실적 달성메타버스 투자 시작으로 전략 전환 선언2022년EPS: $8.59 / PER: 약 15배 / PBR: 약 3.7배경기 침체 우려 + 광고 매출 감소 + 메타버스 적자 확대 → 이익 급감주가 하락과 함께 밸류에이션도 저점 도달2023년EPS: $14.87 / PER: 약 42.2배 / PBR: 약 6.2배비용 구조 개선 + 광고 회복 + AI 기반 비.. 2025. 6. 5.
아마존(AMZN) - 세계 최대의 이커머스 기업, 기업가치는 어떨까? 기업 개요아마존은 세계 최대의 e커머스 기업이자, 클라우드 컴퓨팅(AWS)의 선두주자입니다. 최근에는 광고, 물류 자동화, 생성형 AI 서비스까지 사업을 확장하며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내고 있습니다.주요 수익 구조이커머스: 미국 및 글로벌 온라인 쇼핑 시장 선도클라우드(AWS): 기업용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전체 영업이익의 상당 부분 차지광고/기타: 광고 기술 및 프라임 구독 기반의 수익 확대AI/로봇물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키우는 중최근 3년간 실적 추세 (FY 기준)2022년EPS: $0.03 (AWS 성장 불구하고, 전반적 비용 상승으로 부진)매출: 약 $5130억2023년EPS: $2.90 (이익 구조 회복세)매출: 약 $5740억2024년EPS: $4.73매출: 약 $6.. 2025.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