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0

미국 주식 투자 - 이것만은 꼭 주의하세요! 해외 주식 투자, 특히 미국 주식은 글로벌 대장주에 직접 투자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국내 주식과는 다른 점도 많습니다. 단순히 ‘좋은 기업’이라고 무턱대고 투자하면 낭패를 볼 수 있어요.따라서 오늘은 미국 주식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5가지를 정리해 볼게요!1. 환율 변동 리스크미국 주식은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환율에 따라 수익이 크게 변동할 수 있어요.원화 기준 수익 = 주가 수익 + 환차익/손달러 강세 → 환차익 발생 / 약세 → 손실 가능Tip: 환율이 고점일 때는 분할 매수, 저점일 때 매도 전략 고려!2. 세금 이슈 (배당세 & 양도소득세)미국 배당에는 15% 원천징수연간 해외주식 양도차익 250만 원 초과 시, 양도소득세 22% 별도 납부 필요Tip: 국내 증권사를 통해.. 2025. 5. 23.
[산업별 투자 가이드] 미디어/콘텐츠 기업 - 무엇을 보고 투자할까? 넷플릭스, 디즈니+ 와 같은 글로벌 OTT 플랫폼이 성장하면서, 한국의 드라마·영화·예능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드래곤, CJ ENM과 같은 제작사뿐만 아니라, 플랫폼 및 유통사까지 미디어 산업 전방위적인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죠.오늘은 미디어·콘텐츠 산업에 적합한 핵심 투자 지표와 체크해야 할 포인트를 함께 정리해 볼게요.이익 대비 주가 수준 - PER 확인미디어·콘텐츠 업종은 투자 대비 수익이 늦게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만약 이익이 안정적으로 나기 시작한 기업이라면 ‘PER(주가수익비율)‘을 활용해 적정 주가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PER 10 이하: 저평가, 리스크 검토PER 10~20: 콘텐츠 가치 대비 적정PER 20 이상: 성장 기대감 반영 (IP 확장 여부.. 2025. 5. 22.
기초부터 다시 보는 ‘분기보고서 보는 법’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자료, ‘분기보고서’입니다. 하지만 막상 열어보면 숫자만 가득하고, 무엇을 봐야 할지 막막하셨죠?오늘은 분기보고서에서 꼭 봐야 할 핵심 포인트를 쉽게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분기보고서란 무엇인가요?분기보고서는 기업이 3개월마다 실적과 재무 상태를 정리해 금융감독원에 제출하는 공식 보고서입니다. 상장기업은 1년에 4번(1Q, 2Q, 3Q, 4Q) 보고서를 제출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기업의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죠.Tip: 전자공시시스템(DART) 또는 네이버 금융을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어요!꼭 봐야 할 3가지 핵심 항목요약 재무제표: 실적 추이 확인매출액: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아 벌어들인 총금액 영업이익: 본업에서 벌어들인 실제 이익 순이익: 모든 .. 2025. 5. 21.
실전 기업분석 - 한국전력공사 (015760) 기업 개요한국전력공사(KEPCO)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전력 공기업으로, 국내 전력의 생산, 송전, 배전, 판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내 전력 시장을 독점적으로 운영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2024년 실적 요약매출액: 94조 13억 원 (전년 대비 6.6% 증가)영업이익: 8조 3,488억 원 (전년 대비 283.8% 증가) 당기순이익: 3조 7,484억 원 (전년 대비 179.5% 증가)주당순이익(EPS): 5,439원주당순자산(BPS): 62,177원주당배당금(DPS): 214원주가수익비율(PER): 4.6배주가순자산비율(PBR): 0.40배배당수익률: 0.85%2024년 한국전력은 4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전력 판매량 증가와 전력 판매 단.. 2025. 5. 20.
[산업별 투자 가이드] 전력/에너지 기업 - 무엇을 보고 투자할까? 전력과 에너지는 국가 기반 산업으로, 정부 정책과 글로벌 원자재 흐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안정적인 수요가 장점이지만, 가격 통제나 국제 유가 등 외부 변수도 많은 산업이지요. 오늘은 전력·에너지 업종에 적합한 핵심 투자 지표와 주오 관찰 포인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수익성 지표 – PER과 EPS 체크전력·에너지 기업 또한 이익 창출력과 주가 수준을 보려면 PER과 EPS는 필수입니다. 다만 공기업은 정책에 따라 이익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니 보수적으로 해석하세요.PER(주가수익비율)PER 5 이하: 극단적 저평가 가능성 有PER 5~10: 실적 개선기 진입 PER 10~15: 실적 안정 PER 15 이상: 미래 성장 기대 반영EPS(주당순이익)1주당 얼마의 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보여줌EPS가 꾸준히.. 2025. 5. 19.
실전 기업분석 -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기업 개요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1년 설립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DMO) 기업으로, 인천 송도에 위치한 생산시설을 통해 항체의약품을 비롯한 다양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현재 1~4 공장을 운영 중이며, 총 생산능력은 60.4만 리터에 달합니다. 또한, 5 공장(18만 리터 규모)을 2025년 완공 목표로 증설 중이며, mRNA, ADC,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실적 요약 (연결 기준)매출액: 4조 5,473억 원 (전년 대비 +23%) 영업이익: 1조 3,201억 원 (전년 대비 +19%) 당기순이익: 9,633억 원 (전년 대비 +26.3%)   2024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 공장의 본격적인 가동과 기존 공장의 안정적.. 2025.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