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업3

HD한국조선해양 - EV/EBITDA로 본 투자 매력은?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이 회사가 진짜 저평가인가?”라는 질문에 직면할 때가 많습니다. 이처럼 PER이나 PBR만으로 판단하기 애매한 경우, EV/EBITDA 지표가 강력한 도구가 되어줍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을 중심으로, EV/EBITDA 지표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전 분석’해보겠습니다.EV/EBITDA란 무엇인가?EV/EBITDA는 ‘기업가치(EV, Enterprise Value)’를 ‘상각전영업이익(EBITDA)’으로 나눈 값입니다.즉, 기업을 인수한다고 가정했을 때, EBITDA라는 이익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EV = 시가총액 + 순부채(총부채 – 현금성자산)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일반적으로 EV/EBITDA가 낮.. 2025. 4. 17.
실전 종목 분석 - HD한국조선해양, 최근 실적과 전망은? 주식 투자를 고려하신다면, 기업의 최근 실적과 재무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267250)’의 2024년 연말보고서를 기반으로, 실적 추이, 부채 상황, 그리고 향후 전망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실적 흐름: 매출과 영업이익 추이HD한국조선해양의 2024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매출액: 전년 대비 19.9% 증가한 25조 5,386억 원영업이익: 전년 대비 408% 증가한 1조 4,341억 원영업이익률: 약 5.6%실적 분석 포인트:매출과 영업이익의 동반 상승은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 수주 확대와 생산 효율성 향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영업이익률의 개선은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 전략과 원가 절감 노력의 결과로 보실 수 있습니다.부채 비율과 유동성.. 2025. 4. 13.
한국 조선업의 기회 - 미국의 중국 선박 추가 비용 부과 최근 미국 정부는 중국이 세계 조선 산업에서 차지하는 지배적인 위치를 견제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 및 중국 선사에 대한 추가 비용 부과를 추진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정책의 내용과 배경, 그리고 한국 조선업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의 중국 선박 추가 비용 부과 정책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의 해운 및 조선 산업 지배력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 및 중국 선사에 대한 추가 비용 부과를 제안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중국 선사가 운영하는 선박: 미국 항구에 입항 시 최대 100만 달러의 추가 비용 부과중국에서 건조된 선박: 미국 항구에 입항 시 최대 150만 달러의 추가 비용 부과이.. 2025. 4. 12.